본문 바로가기

문화

(2138)
2013년 발표한 Times 선정 20세기 최고의 책 100선 (6/100) 2013년에 발표한 Times 선정 20세기 최고의 책 100선이란다. 이게 왜 최고의 책인지, 어떤 기준에서 선별했는지는 관심없다. 그래도 나름 선정을 하려고 기준을 만들었을테고, 나름 다른 이들이 봤을 때 고개를 끄덕일 만해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에 선정에 신경을 썼지 않겠냐고 믿을 뿐. 이게 뭐 수학처럼 답이 있는 건 아니니까. 그래도 가이드를 제시해준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정리한다. 영화 같은 경우에는 이런 게 몇 개나 있어서 다 정리해놓고 볼 때마다 하나씩 체크해두곤 하는데, 책은 이번이 첨인 거 같다. 개인적으로 문학은 그닥 좋아하지 않아서 잘 안 보는 편인데 전체 100권 중에서 문학이 30권이나 차지하고 있네 그려. 읽어? 말어? 생각 좀 해봐야할 듯. 따져보니 100권 중에 6권 읽었네. ..
[신작 미리보기] 쥬라기 월드: 이젠 유전자 조작 공룡의 등장이다 시리즈인가 싶었는데, 그런 건 아닌 듯 하다. 비록 제작총괄은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맡았다곤 해도 전혀 다른 내용의 영화라 제목도 이 아니라 로 한 거 같다. 의 마지막 편이 2001년도에 나왔으니 10년도 더 된 영화의 소재를 가져와서 새로 뭔가를 만든다고 한다면 그 이상의 뭔가를 보여줘야 을 봤던 수많은 관객들을 만족시켜주지 않을까 싶다. 사실 은 1편, 2편까지는 괜찮았지만만 3편은 별로였잖아~ 예고편을 보니 설정은 괜찮은 듯. 동물원의 동물 대신 공룡이 있고, 유전자 조작 공룡까지 등장하니 말이다. 나쁘지 않을 듯 싶다. 미국에서는 내년 6월 12일 개봉인데 국내 개봉일은 미정. 국내도 아마 미국과 비슷한 시기에 개봉하지 않을까 싶다. 주인공은 최근 본 에서 스타로드를 맡았던 크리스 프랫이 맡았..
잠시 잊고 살았던 내 취미, 독서 요즈음은 블로그에 영화 밖에 안 올리는 거 같다. 사실 영화감상이 내 취미 생활의 1순위긴 하지만, 영화 관련된 글만 올리는 건 그만큼 빨리 적을 수 있어서다. 게다가 언제부턴가 책을 읽다 보면 그 얘기가 그 얘기고, 깊이 없는 울림(그러니까 내겐 소리. 그렇다고 잡음 즉 노이즈는 아니지만)만 있다 보니 언제부턴가 책을 멀리하게 된 건데, 그래도 한 때는 내 블로그 책 리뷰 많이 올라오는 블로그로 알고 있는 사람도 있었다. 사실 그 때 책 리뷰를 많이 올린 건 당시에 책을 좀 많이 보기도 했지만 기존에 홈페이지에 담아둔 책 리뷰들을 옮겨서 그렇게 많이 올린 것이지 그 당시에 많이 본 게 아니었거든. - 나의 독서 속도 위의 글은 내가 2007년 1월 12일에 적은 글이다. 그 때까지 내 인생에서 책에 사..
[신작 미리보기] 프로젝트 알마낙: 타임머신을 소재로 한 볼 만한 영화? 유명한 감독이 맡은 영화도 아니고, 유명한 배우가 나오지도 않는다. 근데 예고편을 보면 재밌을 듯 하다. 이제는 식상해져버린 타임머신을 소재로 하고 있는 영화다. 타임머신하니까 라는 영화가 생각난다. 몇 편인지는 모르겠지만 영화관에서 상영할 때 서서 봤던 것도 기억나네. 내 어렸을 적에는 좌석이 없이 서서 보는 경우도 있었다는. 그런데 이 볼 만하다고 생각하는 건 우리가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간다면 뭘 할까란 상상을 만족시켜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물론 그것만 있는 건 아니지. 그렇게 과거를 뒤바꾸다 보니 또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이 생기게 되는데... 그걸 어떻게 풀어가는지가 의 주된 내용이 아닌가 싶다. 대단한 기대는 하지 않지만 재미는 있을 듯 싶다. 미국에서는 내년 1월 30일에 개봉인데,..
더 지니어스: 블랙 가넷(더 지니어스 시즌3) 9화 - 승부에 임하는 자세가 떠오르던 내가 좋아하는 두 개의 말이 있다. 1. 사자는 상대가 토끼라고 하더라도 호랑이라 생각하고 싸움에 임한다. 2. 7할의 승리: 100% 자신의 실력으로 이기는 승리란 없다. 이번 9회전은 이 두 말이 가슴 깊이 와닿았던 회전이 아니었나 싶다. 중간달리기에선 사람 연합이 아니라 좋은 말 연합 게임 중간달리기는 이전에 나왔던 게임이다. 3회전이었나? 강용석 변호사가 떨어진 회전이니까. 그 때 강용석 변호사가 떨어진 이유는 데스매치를 못 한 거긴 하지만, 데스매치를 가게 된 이유는 메인매치에서 떨어져서 그렇다. 왜? 좋은 말을 선택할 기회가 없었으니까. 그 이유는 2회전 데스매치에서 강한 인상을 남겼기 때문에 많은 플레이어들이 견제를 했던 거고. 그 때 중간달리기 게임을 해봤으니 어느 정도 알 거다. 이건 좋..
북극의 나누크: 이뉴잇의 삶에 대한 다큐, 다큐멘터리의 시초격인 영화 (1922) 가 유명한 이유는 다큐멘터리의 시초이기 때문이다. 그렇다 해서 대단하다 그런 얘기를 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확실하게 얘기할 수 있는 건, 다큐멘터리의 시초라고 불리는 도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담아서 편집한 게 아니라 조작된 사실을 담고 있는 부분이 있다는 거다. 그러니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다큐멘터리를 있는 그대로의 사실로 받아들여선 안 된다는 걸 시초가 되는 에서도 잘 보여준단 말. 사람이라는 게 그렇잖아. 이거 사실이라고 해서 보고 감명 받았는데 알고보니 조작이야. 그러면 속았다는 생각에 기분이 안 좋아질 수 밖에. 좀 더 잘 표현하기 위해서 로버트 J. 플래허티 감독이 그렇게 했다고 해도, 이에 대해서는 분명 논란의 여지는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본다. 그런 부분을 도외시하고, 내용만 봤을 때는 볼 ..
레드카펫: 이상한 영화 아냐~ 봐바. 재밌고 괜찮아~ 이상한 영화인 줄 알았다. 볼 생각도 없었고. 근데 윤계상이 나오길래 봤다. 가수 출신이지만 연기 잘 한다 생각하는 배우 중에 한 사람으로 생각하기에. 게다가 또 난 윤계상의 이미지가 좋아. 매력 있어. 그래서 봤다. 영화 별 기대 안 하고. 근데 재밌네. 코믹 멜로물인데, 괜찮아. 물론 현실성은 좀 떨어지지. 그러니까 영화 아니겠냐고. 그래도 영화에서라도 이렇게 풀어나가는 게 맞다고 봐~ 개인적으로 윤계상이 맡았던 정우란 캐릭터 맘에 들어. 사람이 이래야지. 정우란 캐릭터는 현실성 있었는데, 정작 현실성 없는 캐릭터는 고준희가 맡았던 은수. 뜨기 전에 알았던 사람. 게다가 상대는 에로 감독. 이 즈음 되면 안 엮이려고 하는 게 당연한 거 아니겠어? 연예인이라는 게 어차피 이미지로 먹고 사는 직업인데 말..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시즌1: 조나단 놀란이 각본에 참여한 미드 요즈음 틈날 때 보는 미드다. 시즌1은 2011년도에 제작되었고, 현재 시즌4 방송중인데 나는 이제서야 보고 있다는. 최근 개봉한 보고 난 후에 조나단 놀란(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동생, 믿을 만한 각본가)이 각본을 맡은 영화들 뒤적거리다가 발견한 미드. 조나단 놀란이 각본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발견하지 못했을 미드였다. 누가 추천해줬던 것도 아니고 말이지. 내용 간략하게 얘기하면 이렇다. 9/11 사태 이후에 정부에서는 범죄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는데, 정부는 테러 이외의 사소한 범죄에 대해서는 무시한다.(이게 나쁘다는 게 아니라 너무 많으니 정부에서는 9/11 테러와 같은 것만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이렇게 무시된 데이터를 이용해 시스템을 개발한 사람과 전직 CIA 출신이 범죄 예방에 나서는 게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