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2138)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 오늘 첫 방송 하는구나 0.내가 국내 TV 프로그램 중에서 즐겨 보던 몇 안 되는 프로그램 중 하나. 그랜드 파이널이라 하니까 마치 마지막인 듯 느껴지는데 시청률이 좋으면 또 계속 이어지지 않겠어? 단지 이번에는 시즌 1~시즌 3까지의 우승자, 준우승자가 다 나온다는 점이 다른 시즌에 비해서 관심을 끄는 요인인 듯. 1. 시청 포인트 정도 되겠다. 누가 우승할 지 예상? 이런 거 없다. 게임의 성격을 안다면 초반에는 변수가 많고 의외성도 많아 우승을 예측하긴 힘들지. 중반 정도 가야 그래도 어떻게 되겠다 예상이라도 해볼 수 있을 듯. 더 지니어스 게임의 특징, 초반 그러니까 방송 시작하는 시점에서 1~5회전 정도까지의 공략 포인트, 그리고 주요 플레이어들에 대한 특징들까지 담았다. → 더 지니어스 시즌 4: 시청 포인트 및 주..
런 올 나이트: 이제 리암 니슨 식 액션은 끝났다 0.나의 3,508번째 영화. 개인 평점은 6점. 나쁘진 않은데 그렇다고 좋지도 않다. 이미 많이 식상해져버렸다고 해야할 듯. 국내에서도 전국 30만 관객 동원에도 못 미쳐 흥행 참패. 그냥 타임 킬러용 영화로 보면 좋을 듯. 가끔씩 그럴 때 있지 않나? 그냥 아무 생각없이 액션 영화 한 편 보고 싶을 때. 그럴 때 적합한 영화. 1.액션 배우들의 연기는 그런 모양이다. 처음에는 신선하지만 반복되는 패턴에 질리곤 하니까. 으로 나이 들어도 액션 배우를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리암 니슨. 그의 액션 연기가 이제 끝을 고한다는 걸 알리듯 최근 들어 그의 액션 영화가 꽤 나왔더랬다. 가 마지막이 될 듯. 2.에서는 딸, 아내 때문에 고생이더니만 에서는 아들 때문에 개고생. 상대 역의 에드 해리스와 카리스마 ..
매기: 아놀드 슈왈제네거의 내면 연기를 기대했건만 0.나의 3,507번째 영화. 개인 평점은 5점. 예고편이 떴을 때 보고 아놀드 슈왈제네거가 나이가 드니 이런 연기 도전을 하는 건가 싶어서 나름 그런 잣대로 영화를 봤는데, 음... 아놀드 슈왈제네거의 연기가 뭐 어떻다고 평하기 전에 감독이 누군지는 몰라도(찾아봐도 난 모르겠더라) 이렇게 영화 만들기 쉽지가 않다고 생각. 좋다는 뜻이 아니라 좋지 않다는 뜻에서. 1.정말 지루하다. 엄청 늘어진다. 그 늘어짐이 각 캐릭터의 심리 묘사를 위해 그래야만 하는 거라면 내가 어느 정도 이해하겠는데, 그럴 필요가 있다 하더라도 너무 늘어진다. 1시간 30분이 조금 넘는 러닝 타임이 이렇게 지루하기는 정말 간만인 듯. 정말 재미없어서 졸리기까지 하더라. 내가 어지간하면 영화 평점 6점 주는데 이건 아니다 싶다. 비..
더 라스트 쉽 시즌 2: 지난 주 시작한 추천할만한 미드 0.지난 주부터 방송되었던 시즌 2. 음. 역시 재밌네. 시즌 프리미어로 2회를 연속 방송했다. 이 미드 아직 안 본 사람 있나? 추천하는 미드니 보길. 1.최근 시즌 2, 시즌 2, 시즌 2 시작한다. 그 외에 두 개의 또 추천할만한 미드 있으니 다음 글 확인해보길. → 새로운 시즌이 곧 시작하는 볼만한 미드 5편
간신: 잔인하고 야하긴 하지만 난 괜찮아쓰~ 0.나의 3,506번째 영화. 개인 평점은 7점. 간신에 대한 내용이구나 하고 봤지. 근데. 오~ 야하네. 잔인하고. 미드 가 먹히는 거 보고 이렇게 만들었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 잔인하고 야해서 청소년 관람불가네. 그럴 만하다. 1.얼마나 잔인하냐? 사실 잔인한 장면은 그리 많지는 않다. 잔인한 장면보다는 야한 장면이 많지. 근데 초반 임팩트가 좀 강했지. 영화 시작하자마자 꽤 잔인한 컷들이 나와. 그래도 나는 이거 보면서 오~ 우리나라 영화도 이 정도는 하는구나란 생각이 들었지. 얼마나 야하나? 처음에 살짝 놀랐던 게 한국 영화에 여자의 음모가 나와? 에로 영화도 아닌데? 에로 영화라고 해도 음모는 노출이 안 되게 편집하는데 말이지. 살짝 놀랬다. 물론 두 여주인공 임지연, 이유영의 음모는 아니지만..
영화평을 읽을 때 필요한 영화 용어 정리 15개 영화평을 읽다보면 무슨 말인지 모르는 용어가 나올 때가 있다. 개인적으로 이런 글 엄청 싫어한다. 왜 그러냐면 꼭 자신이 뭔가를 많이 아는 듯 보이려고 그런 용어를 쓰는 거 같아서다. 그런 글들은 영화 전문가 그러니까 그런 용어를 기본적으로 쓰는 이들끼리나 사용해야지 대중들에게 읽으라고 쓰는 글에는 사용을 자제하는 게 좋다. 나는 그런 용어 쓴다고 똑똑하다 생각하지 않는 사람 중에 하나다. 오히려 좀 티내려고 하는 하수들이 그런 용어 잘 쓴다고 생각한다. 진정 똑똑한 사람은 아무리 어려운 얘기도 쉽게 풀어서 적을 줄 아는 사람이라 생각하기에. 그래서 스티코 매거진에도 그런 표현 못 쓰게 한다. 그러나 용어 정리를 다 해두고 나서는 그런 용어를 사용하는 걸 허용했는데, 이유는 스티코 매거진에 쉽게 적어둔 ..
신경숙 표절 지적이 맞다는 생각? 이건 인정한 게 아니지 다음 기사 읽고 적는 거임. 근데 동아일보네. ㅠㅠ 쩝.http://news.donga.com/DKBNEWS/3/all/20150623/72060029/3 0.“문제가 된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우국’의 문장과 ‘전설’의 문장을 여러 차례 대조해 본 결과, 표절 문제를 지적하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기존의 입장에서 한풀 꺾이긴 했는데, 내가 볼 때는 이런 식이면 또 이런 문제 나오리라 본다. 이미 예전에도 숱하게 나왔던 문제거늘 그래도 소셜 미디어의 발달과 다양한 매체들이 등장함으로 인해 그런 문제가 확산됨으로써 이러는 거지 그렇지 않았다면 절대 인정하지 않을 인물이라 본다. 맞다는 생각이 아니라 맞아요! 뭔 이런 유체이탈화법을 쓰지? 박근혜한테 배웠나? 어디서 이런 못 배워먹은 짓거리지? 마..
신경숙 표절 맞구먼 무슨! 쩝. 적어두고 예약 포스팅 걸어뒀더니만 오늘 아침에 보니 인정하는 분위기로 흘러가는데, 말 뉘앙스가 묘하다. 여튼 적어둔 글 앞당겨 포스팅. 0.어제 아침에 신경숙 표절 내용에 대해서 봤다. 별로 관심도 없었던 사안인지라 그런 얘기가 나왔을 때 그러려니 했는데, 아침에 잠깐 시간 내어 내용을 훑어본 것. 참 기가 차다. 내가 기가 차는 건 신경숙의 말과 창비의 입장 표명이었다. 1.우선 표절 여부 논란을 불러 일으킨 소설가 이응준의 글을 읽어봐야한다.→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 | 신경숙의 미시마 유키오 표절 2.내가 볼 때 표절이라고 하는 이유 첫 번째. 묘사가 흡사하다. 아주 우연찮게 그럴 수도 있다. 그래. 나도 안다. 0.0000000000000000000000000001%의 확률이라고 해도 일..